아이조메
전통적으로 천연 염색은 옛날 사람들이 아름다운 색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의 꽃이나 열매, 잎, 뿌리, 껍질, 그리고 동물, 광물, 해조류, 암균, 버섯, 이끼류 등에서 색을 나타내는 물질을 추출하여 이용해 왔다. 예전에는 염색의 염료가 대부분 식물 염재였는데, 그 중 쪽 염료가 가장 많이 사용됐다. 일반적으로 식물성 섬유에 주로 염색되었고, 견이나 양모와 같은 동물성 섬유에도 잘 물들여져 생활 속의 염색과 전통공예로 자리 잡아 왔다.
남(藍)이라는 말은 단순한 식물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남(藍)의 색소를 함유하는 초목을 총칭하는 것이며 한국이나 중국, 일본 등의 문헌에서는 남(藍)이라 기록되어 있지만 전통적으로 한글 용어로는 쪽이나 쪽물이라고 불렸다. 쪽은 인도, 이집트를 시작으로 전파되어 중국, 한국, 일본으로 건너갔다. 기원전 3세기 중국 문헌 중 순자가 저술한 권학편(勸學篇)에 ‘청출어람(靑出於藍)’[청(靑)은 남(藍)에서 나와 남(藍)보다 푸르다 ; 스승보다 뛰어난 제자를 가리키는 뜻]이라는 문구를 사용한 것으로 보아 기원전 3세기 이전부터 쪽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고시대 우리나라 염직의 기록으로는 [후한서] 권85 [동이열전]에 화려한 무늬 비단과 자수 놓은 의복을 만들고 금은으로 장식한다는 뜻으로 색깔실을 사용한다는 기록이 있어 염색 기술이 상고시대부터 벌써 들어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백제 고이왕 때 복색 착용 제도를 정비하고 신라 때에는 염관에 11인의 염장(染匠)을 두었고 홍전, 능색전, 소방전 등의 염색에 관련된 부서가 있었다.
고려에 와서는 염색을 관장하기 위해 직염국(織染局)에 도염서(都染署)를 두어 전문 장인인 염료공과 염색공을 두어 염색을 담당하게 하였다. 그 후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경공장에 청염장, 홍염장, 황단장 등 염색을 분업화시켜 염색을 색깔별로 관장하면서 염색 기술이 고도화되어 갔다.
조선 중기 이후에는 민간 수공업으로 전환되어 민가의 부업이나 가내의 생필 목적으로 자급자족하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반가 이상의 서민층에서도 염색의 욕구가 고조되어 혼수품으로 의류 및 이불, 생활용품, 보자기 등 다양한 전통염색이 가내의 비법으로 발달되어 왔다. 그러나 1856년 합성염료의 출현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잠시 단절되다가 1970년대 후반부터 계승, 재현되어 환경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는 오늘날 일반대중들 사이에 가장 선호하는 전통공예로 부각되고 있는 분야이다.